23억 사기극: '친아들' 약속과 23조 원 재력 과시, 70대 여성의 최후
조 단위 재력가 행세, 70대 여성의 6년 징역 선고
수년간 지인들을 상대로 재력가 행세를 하며 23억원 이상을 편취한 혐의를 받는 70대 여성이 징역 6년을 선고받았다. 춘천지법 원주지원은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등 혐의로 구속 기소된 70대 여성 A씨에게 징역 6년을 선고했다.

23억 원 사기 행각의 시작: 돈세탁 핑계와 조 단위 재산 과시
A씨는 2020년 5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지인들과 소개받은 사람에게 조 단위의 재력가 행세를 하며 ‘돈세탁’에 비용이 필요하다고 속여 23억원 이상을 받아챙긴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검찰은 A씨가 일정한 수입이나 재산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카지노·생활비 등에 지출하기 위해 수조원대 자산이 있는 것처럼 상대방들을 속였다고 봤다.

친아들 대접과 지분 약속: B씨를 속인 15억 원 사기
A씨는 “나에게 23조원이 있다. 은행에 5~6조원이 있는데 특수차량에 실으려면 인건비, 숙박비 등이 필요하다”, “너를 친아들로 생각한다. 돈 찾으면 지분 79%를 주겠다” 등의 방식으로 지인 B씨를 속여 수년간 15억여원을 받았다.

현금 12조 원 운반 핑계: C씨와 D씨를 상대로 한 추가 사기
또 다른 지인 C씨에게는 “내가 현금 12조원이 있는데 이를 김해에서 충주로 옮기는 작업 중이다. 경비가 필요하니 구해달라”고 요구했는데, 이를 믿은 C씨로부터 소개받은 D씨를 상대로 약 1년 동안 5억여원을 받아챙겼다.

C씨의 회사 투자 약속: 또 다른 사기 행각
C씨에게도 돈세탁 등에 필요한 각종 경비를 대주면 C씨 회사에 거액 액투자하겠다고 속여 수년간 3억여원을 받아챙기기도 했다.

재판부의 판결과 항소: 죄질의 무게와 피해 변제
재판부는 “피해액의 규모가 23억 원이 넘는 점 등에 비춰 볼 때 죄질이 매우 중하다. 피해자들은 피고인에 대한 엄벌을 바라고 있다”면서도 “피고인이 피해자들에게 일부 변제한 것으로 보이는 등 실제 피해액은 편취금액보단 적은 것으로 보인다. 여러 정상들을 참작해 양형기준이 정한 권고 형 범위에서 형을 정했다”고 밝혔다. A씨 측은 법원에 항소장을 제출했다.

23억 사기극, 70대 여성의 징역 6년 선고: 허황된 재력 과시의 말로
70대 여성이 수조 원대 재산을 과시하며 지인들을 속여 23억 원 이상을 편취한 혐의로 징역 6년을 선고받았습니다. 친아들을 자처하며 거액의 지분을 약속하는 등 치밀한 사기 행각을 벌였지만, 결국 법의 심판을 받게 되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사기 사건 관련 궁금증 해결
Q.A씨는 왜 이렇게 큰 금액을 사기 쳤나요?
A.A씨는 카지노, 생활비 등 개인적인 지출을 위해 수조 원대 자산이 있는 것처럼 속여 돈을 갈취했습니다.
Q.피해자들은 어떻게 A씨에게 속아 넘어갔나요?
A.A씨는 친아들을 자처하며 지분을 약속하거나, 돈세탁 명목으로 투자를 유도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피해자들을 속였습니다.
Q.A씨의 항소 결과는 어떻게 될까요?
A.A씨 측이 항소했기 때문에, 최종 판결은 항소심에서 결정될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