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한중일' 표기 복원: 대중 유화 제스처인가, 실용 외교의 시작인가?
동북아 3국 표기, '한중일'로의 회귀
이재명 정부가 동북아 3국의 공식 표기 순서를 ‘한중일’로 통일하기로 했다. 전임 윤석열 정부에서 ‘한일중’과 ‘한중일’ 표기를 혼용하던 것을 ‘한중일’로 원상복구하여, 중국을 일본에 앞서 표기하겠다는 것이다.

표기 변경의 배경: 관계 개선과 논란 종식
정부가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선 가운데 나온 조치여서 ‘대중 유화 제스처’의 일환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1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대통령실 관계자는 “동북아 3국 표기를 ‘한중일’로 통일해 사용하기로 했다”며 “가장 많은 사람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기로 통일해 불필요한 논란을 없애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과거의 표기 방식과 변화의 흐름
동북아 3국의 표기는 전임 정부 이전까지는 ‘한중일’이 일반적이었다. 동북아 3국 정상회의체의 경우에는 개최 순번(일본-중국-한국)에 따라 ‘한일중 정상회의’라고 쓰기는 했으나 그 외에는 한중일 순서로 언급했다는 게 외교 관계자들 설명이다.

윤석열 정부의 표기 변화와 그 배경
그러나 윤석열 전 대통령의 2023년 9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정부는 동북아 3국을 ‘한일중’ 순서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해 당시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관계자는 “우리 정부 들어 가치와 자유의 연대를 기초로 미, 일과 보다 긴밀한 협력이 이뤄지고 있어 ‘북미’보다 ‘미북’, ‘한중일’보다 ‘한일중’으로 부르고 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이재명 정부의 외교 기조: 실용 외교와 대중 관계 회복
일각에서는 이번 ‘한중일’ 표기 복원 방침은 이재명 대통령의 실용 외교 기조 아래 나온 ‘대중 유화·대일 강경’ 조치로 풀이한다. 전임 정부가 일본에 편중된 외교 기조로 중국을 배제하며 실리를 잃은 측면이 있다고 보고, 실사구시의 실용 외교 기조로 대중 관계를 회복하려는 차원이라는 해석이다.

대통령의 메시지와 향후 과제
이 대통령도 최근 대중 관계 복원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1일 경주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한 뒤 “한중 관계를 전면적으로 회복하고, 전략적 협력 동반자로서 실용과 상생의 길로 다시 함께 나아가게 됐다”고 평가했다.

균형 외교의 중요성
또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외교의 핵심 가운데 하나는 균형인데, 전임 정부는 이념 외교를 하며 일본 중심으로 과도하게 치우친 측면이 있다”며 “이를 원래대로 되돌려 놓는 것이 맞는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핵심 내용 요약
정부가 동북아 3국 표기 순서를 ‘한중일’로 변경하며, 전 정부의 ‘한일중’ 표기에서 벗어나 대중 관계 개선에 나섰습니다. 이는 실용 외교를 통해 균형 잡힌 외교를 추구하려는 의도로 풀이되며, 한중 관계 회복과 관련된 대통령의 발언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왜 표기 순서가 중요한가요?
A.표기 순서는 국가 간의 관계와 우선순위를 시사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닙니다. 특히 외교 관계에서는 각 국가의 위상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합니다.
Q.이번 조치가 한중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A.이번 조치는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는 경제, 외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 간의 협력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Q.앞으로의 외교 정책 방향은 무엇일까요?
A.이재명 정부는 실용 외교를 통해 특정 국가에 편중되지 않고, 균형 잡힌 외교 관계를 구축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주변 국가와의 관계를 개선하고, 국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입니다.